작품소개
저자의 출소 이후 발견된 메모노트와 기존 책에 누락된 편지글들을 완벽하게 되살려내어 증보했다. 여름의 좁은 잠자리는 옆사람을 단지 열덩어리로만 느끼게 합니다. 옆사람의 체온으로 추위를 이겨나가는 겨울철의 우정과 대조를 이루는 형벌입니다.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에 대한 미움이 존재 그 자체 때문이라는 사실은 불행을 절망적인 것으로 만듭니다. 감옥에서 보내온 그의 사색은 따뜻하고 아름다워, 숨가쁘게만 살아가던 바깥 람들은 조용히 머리를 숙이게 된다.
1988년 첫 출간된 이래 지금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가슴에 깊은 감동을 남기며 이 시대의 고전으로 기록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의 증보판. 저자의 출소 이후 발견된 메모노트와 기존 책에 누락된 편지글들을 완벽하게 되살려냈다.
저자소개
저자 신영복은 1941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및 동 대학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강사를 거쳐 육군사관학교 경제학과 교관으로 있던 중 1968년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구속되어 무기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복역한 지 20년 20일 만인 1988년 8월 15일 특별가석방으로 출소했다. 1989년부터 성공회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2006년 정년퇴임 후 석좌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 나무야』, 『더불어 숲』, 『신영복의 엽서』, 『강의―나의 동양고전 독법』, 『청구회 추억』, 『처음처럼』, 『변방을 찾아서』, 『느티아래 강의실』(공저), 『신영복』 등이 있으며, 역서로 『외국무역과 국민경제』, 『사람아 아! 사람아』, 『노신전』(공역), 『중국역대시가선집』(공역) 등이 있다.
목차
초판 서문
영인본 [엽서]서문
증보판 서문
고성(古城) 밑에서 띄우는 글
[남한산성 육군교도소 (1969년 1월∼1970년 9월)]
나의 숨결로 나를 데우며
사랑은 경작되는 것
고독한 풍화(風化)
단상 메모
초목 같은 사람들
독방에 앉아서
청구회 추억
니토(泥土) 위에 쓰는 글
70년대의 벽두
고성(古城) 밑에서 띄우는 글
[독방의 영토(안양교도소 1970년 9월∼1971년 2월)]
객관적 달성보다 주관적 지향을
[한 포기 키 작은 풀로 서서(대전교도소 1971년 2월∼1986년 2월)]
형님의 결혼
공장 출역(出役)
잎새보다 가지를
염려보다 이해를
고시(古詩)와 처칠
부모님의 일생
아버님의 건필을 기원하며
겨울 꼭대기에 핀 꽃
이방지대에도 봄이
아버님의 사명당 연구
한 권으로 묶어서
하정일엽(賀正一葉)
눈은 녹아 못에 고이고
생각을 높이고자
아름다운 여자
엄지의 굳은 살
어머님의 염려를 염려하며
좋은 시어머님
이웃의 체온
봄철에 뛰어든 겨울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간고한 경험
비행기와 속력
인도(人道)와 예도(藝道)
신행(新行) 기념여행을 기뻐하며
사삼(史森)의 미아(迷兒)
봄볕 한 장 등에 지고
봄은 창문 가득히
서도의 관계론(關係論)
첩경을 찾는 낭비
꽃과 나비
버림과 키움
할머님이 되신 어머님께
바깥은 언제나 봄날
우공(愚公)이 산을 옮기듯
두 개의 종소리
매직펜과 붓
민중의 얼굴
짧은 1년, 긴 하루
거두망창월(擧頭望窓月)
옥창(獄窓) 속의 역마(驛馬)
창랑의 물가에서
10월 점묘(點描)
이사간 집을 찾으며
세모에 드리는 엽서
새해에 드리는 엽서
자신을 가리키는 손가락
더위는 도시에만 있습니다
한가위 달
옥창의 풀씨 한 알
동굴의 우상
손님
인디언의 편지
엽서 한 장에는 못다 담을 봄
쌀을 얻기 위해서는 벼를 심어야
방안으로 날아든 민들레씨
슬픔도 사람을 키웁니다
피서(避書)의 계절
강물에 발 담그고
참새소리와 국수바람
추성만정 충즉즉
눈 오는 날
겨울은 역시 겨울
서도
우수, 경칩 넘기면
꿈마저 징역살이
더 이상 잃을 것 없이
속눈썹에 무지개 만들며
한 송이 팬지꽃
햇볕 속에 서고 싶은 여름
널찍한 응달에서
메리 골드
저녁에 등불을 켜는 것은
바다로 열린 시냇물처럼
창살 너머 하늘
흙내
창고의 공허 속에서
어머님 앞에서는
신발 한 켤레의 토지에 서서
영원한 탯줄의 끈
낮은 곳
떠남과 보냄
어머님의 붓글씨
새벽 참새
동방의 마음
산수화 같은 접견
세월의 아픈 채찍
침묵과 요설(饒舌)
초승달을 키워서
불꽃
피고지고 1년
없음[無]이 곧 쓰임[用]
봄싹
악수
나막신에 우산 한 자루
보따리에 고인 세월
창문에 벽오동 가지
한 그릇의 물에 보름달을 담듯이
보리밭 언덕
풀냄새, 흙냄새
고난의 바닥에 한 톨 인정의 씨앗
땅에 누운 새의 슬픔
할아버님의 추억
청의삭발승(靑衣削髮僧)
글씨 속에 들어 있는 인생
창백한 손
밤을 빼앗긴 국화
생각의 껍질
교(巧)와 고(固)
낙엽을 떨구어 거름으로 묻고
발 밑에 느껴지는 두꺼운 땅
창문과 문
헤어져 산다는 것
더 큰 아픔에 눈뜨고자
눈록색의 작은 풀싹
정향(靜香) 선생님
어둠이 일깨우는 소리
담 넘어 날아든 나비 한 마리
서도와 필재(筆才)
따순 등불로 켜지는 어머님의 사랑
감옥 속의 닭 ‘쨔보’
바다에서 파도를 만나듯
환동(還童)
욕설의 리얼리즘
황소
역사란 살아 있는 대화
저마다의 진실
샘이 깊은 물
그 흙에 새 솔이 나서
우김질
아버님의 연학(硏學)
비슷한 얼굴
감옥은 교실
아버님의 저서 [사명당실기>를 읽고
뜨락에 달을 밟고 서서
가을의 사색
땅 속으로 들어가는 것
아내와 어머니
세월의 흔적이 주는 의미
겨울 새벽의 기상 나팔
갈근탕과 춘향가
한 포기 키 작은 풀로 서서
벽 속의 이성과 감정
꿈에 뵈는 어머님
함께 맞는 비
죄명(罪名)과 형기(刑期)
과거에 투영된 현재
아프리카 민요 2제(二題)
아버님의 한결같으신 연학
꽃순이
증오는 사랑의 방법
빗속에 서고 싶은 충동
무거운 흙
타락과 발전
독다산(讀茶山) 유감(有感)
어머님의 민체(民體)
녹두 씨알
보호색과 문신
어머님의 자리
바라볼 언덕도 없이
시험의 무게
과거의 추체험(追體驗)
사람은 부모보다 시대를 닮는다
한 발 걸음
수만 잠 묻히고 묻힌 이 땅에
징역보따리 내려놓자
구 교도소와 신 교도소
닫힌 공간, 열린 정신
타락의 노르마
민중의 창조
온몸에 부어주던 따스한 볕뉘
엿새간의 귀휴
창녀촌의 노랑머리
물은 모이게 마련
잡초를 뽑으며
일의 명인(名人)
장기 망태기
무릎 꿇고 사는 세월
벼베기
관계의 최고형태
설날
나이테
지혜와 용기
세들어 사는 인생
노소(老少)의 차이
호숫가의 어머님
우산 없는 빗속의 만남
다시 빈곳을 채우며
아픔의 낭비
여름 징역살이
어머님과의 일주일
우리들의 갈 길
작은 실패
옥중 열여덟번째의 세모에
최후의 의미
인동(忍冬)의 지혜
하기는 봄이 올 때도 되었습니다
[나는 걷고 싶다(전주교도소 1986년 2월∼1988년 8월)]
새 칫솔
낯선 환경, 새로운 만남
나의 이삿짐 속에
새벽 새떼들의 합창
모악산
계수님의 하소연
물 머금은 수목처럼
사랑은 나누는 것
끝나지 않은 죽음
수의(囚衣)에 대하여
땜통 미싱사
부모님의 애물이 되어
토끼의 평화
토끼야 일어나라
설날에
잔설도 비에 녹아 사라지고
혹시 이번에는
밑바닥의 철학
어머님의 현등(懸燈)
죄수의 이빨
머슴새의 꾸짖음
징역살이에 이골이 난 꾼답게
거꾸로 된 이야기
뿌리 뽑힌 방학
장인 영감 대접
환절기면 찾아오는 감기
추석
졸가리 없는 잡담 다발
떡신자
완산칠봉
스무번째 옥중 세모를 맞으며
나는 걷고 싶다
백운대를 생각하며
잘게 나눈 작은 싸움
비록 그릇은 깨뜨렸을지라도
옥담 밖의 뻐꾸기
새끼가 무엇인지, 어미가 무엇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