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논어는 오랜 세월 동안 동양의 고전으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책이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부분에서 해석적 견해가 갈리고 있고 심지어 본뜻과는 전혀 다른 뜻으로 왜곡된 채 공자의 말로 통용되는 경우도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서는 옛 학자들의 자의적인 견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매..
[사기]는 24사의 시작이자 기전체 통사의 시작이며, 전설의 황제로부터 한나라 무제에 이르기까지 광대한 3천년의 중국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이 책은 [사기]의 방대한 양을 압축하여 부담을 덜어내면서도, 그 내용에 만족을 얻을 수 있도록 원전의 체제와 동일하게 구성했다. 따라서 역사 발전의..
소크라테스가 제시하는 자각과 성찰의 가르침 이 책은 우리의 삶에 대해서 소크라테스적 관점을 가져보고 그러한 방식으로 살아가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양대 석좌교수인 저자는 소크라테스가 살던 고대 아테네와 지금의 한국 사회의 본질이 놀랍도록 닮아 있는 데 주목해 이 책을 집필했다. 당시..
양명학은 중국 송나라 주희에 의해 집대성된 성리학(주자학)에 반기를 들고 명나라 때의 왕수인(양명)이 제기한 새로운 유학이다. 동양 삼국 중 중국과 일본에서는 양명학이 주자학의 대안으로 활발하게 연구되었고, 특히 일본의 경우 메이지유신의 주역들이 양명학의 훈도를 받은 사람들이어서 근대화..
주역(周易)의 “역(易)”은 바뀔 “역”자이며 주역은 우주만물의 변화에 관한 학문이며 영어로 “Book of Changes”라고 부른다. 모든 만물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며 (변역) 변하되 간단하고 알기 쉽게 변한다 (간역) 그러나 그속의 근본에는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 (불역). 이와같이 모든 변화..
역사적 사례를 통해, 가장 쉽고 재미있게 공자, 장자, 맹자를 한 권으로 읽는다! 군자(君子)와 도인(道人)을 거울삼아 자신의 모습을 성찰하다 유가와 도가. 이른바 동양의 양대 산맥으로 불리는 두 개의 사상은 비단 한 개인의 작품은 아니다. 유가는 공자와 맹자를 위시하여 수많은 제자들이 키워..
동양을 지배하는 두 가지 사상 유가, 도가 사상을 한 권의 책으로 살펴본다. 단 한 권의 책에 공자와 맹자, 장자의 모든 것을 풀어낸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논어] [장자] [맹자]에서 성현들이 추구해왔던 것이 무엇이며 어떤 것을 말하고자 했는지를 밝히는 실마리가 될 만한 명언들을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