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행복한 일, 꿈이 담긴 일터를 꿈꾸다!
퇴사가 많은 직장인에게 판타지가 되고 있다. 취업을 걱정하는 한쪽과 퇴사를 꿈꾸고 준비하는 다른 한쪽. 첫 입사 후 3년 미만 퇴사자 84%에 육박하는 현실이다. 청년 네 명 중 한 명은 취업을, 네 명 중 세 명은 퇴사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인 장재열, 장수한 역시 삼성 입사자 출신이자 퇴사자다. 모두가 꿈꾸는 일명 삼성맨이었던 셈이다. 현재 그들은 각각 ‘퇴사학교’의 교장과 ‘좀놀아본언니들’의 운영자가 됐다.
이 책은 그동안 장수한, 장재열 저자가 던진 화두의 연장선이다. ‘퇴사’라는 화두를 던지는 데 그치지 않고, 현 상황을 진지하게 고찰하고자 노력한 그들의 결과물이다. 특히 행복한 삶을 찾아 퇴사한 장수한 저자는 퇴사라는 판타지와 현실을 분리해 퇴사만이 정답이 아니라는 점을, 조직에 적응하지 못해 퇴사한 장재열은 퇴사에 무심해질 수 없게 만드는 사회의 변화를 촉구한다.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해 누구보다 많은 퇴사 고민자들과 상담하며 얻고 깨달은 사실로 우리 모두를 대변한다. 결국 이 책은 우리 모두의 이야기다. 사회적으로는 반드시 필요한 시스템 보완을 지적하고 개인에게는 미처 깨닫지 못한 퇴사에 대한 막연한 꿈에 현실적 잣대를 제시하기 때문이다.
저자소개
장재열
상담으로 마음을 들여다보고, 통계로 세상을 비춰 보는 청춘 상담가.
대학 시절, 닥치고 취업을 외쳐 왔다. 40여 개의 스펙을 가지고 회사에 입사. 인사 담당자가 됐지만 조직에 적응하지 못해 10개월 만에 우울증으로 퇴사했다. ‘세상이 말하는 대로 살았는데 왜 나는 이렇게 된 걸까?’라는 의문으로 네이버 포스트를 통해 자문자답 글쓰기 치료를 시작, 320만 조회 수를 기록하며 또래 청년들과 함께 더 나은 삶을 고민했다.
현재는 5년 차 비영리 단체인 청춘상담소 ‘좀놀아본언니들’의 대표로 3만여 명의 청년을 온, 오프라인으로 만나 무료로 상담하고 있다. 붕어빵처럼 같은 고민을 하는 청년들에게는 개인의 노력과 힐링이 아닌 사회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믿음으로, 청년들의 고민을 매년 통계로 분석한 ‘청년 마음 통계’를 발행, 정부 지자체 및 사회 곳곳에 전하고 있다.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KBS <명견만리> 등을 통해 청춘 상담가로 주목받았으며 현재는 EBS FM, TBS FM, MBC 광주, 국방 FM, 브릿지 TV, 유튜브 ‘언니 TV’ 등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청년들의 고민을 대변하고 있다.
청춘상담소 ‘좀놀아본언니들’ 홈페이지 sevenbigsisters.com
청춘상담소 ‘좀놀아본언니들’ 페이스북 www.facebook.com/dangnaguigui
언니 TV 유튜브 www.youtube.com/c/놀아본언니들의고생TV
장수한
행복한 일을 찾는 어른들의 학교 ‘퇴사학교’ 교장.
회사에서 전략기획, 해외영업, 사내벤처 등의 업무를 경험했다. 퇴사 후 직장인의 회사 생활 애환을 날카롭게 고찰한 경영철학 에세이 『퇴사의 추억』을 집필, 100만 직장인들에게 위로와 공감을 줬다. 그의 글은 ‘미생의 산문 버전’, ‘직장인의 필독서’라는 평을 받으며 카카오 브런치북 대상을 수상했다.
퇴사 후 1년간 온갖 방황을 겪으며 준비되지 않은 퇴사가 얼마나 힘든 일인지 몸소 깨달았다. 이후 행복한 일을 찾는 어른들의 학교 ‘퇴사학교’를 설립했다. 창립 이후 직장인 5,000여 명과 선생님 50여 명이 함께하며 대한민국 직장인 대표 혁신 교육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
국내외 100여 개 언론에서 주목받으며, SBS 스페셜 <요즘 것들의 사표>, KBS <명견만리>, 독일 등에 출연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저서로는 『퇴사의 추억』, 『퇴사학교』가 있으며, 현재는 창업가이자 작가, 교육자로서 보다 행복하게 일하는 사회를 꿈꾸고 있다.
퇴사학교 홈페이지 t-school.kr
퇴사학교 페이스북 www.facebook.com/asaptschool
티거 Jang 브런치 https://brunch.co.kr/@suhanjang
목차
프롤로그 | 닮은 듯 서로 다른 두 청년 퇴사자가 모인 이유 … 4
1장. 입퇴양난 : 입사도 퇴사도 어려운 시대
01 입사도 어렵고 퇴사는 더 어렵다 … 15
02 퇴사 후 천국이었다. 딱 3개월까지만… … 23
03 직장인, 막막하거나 망설이거나 … 37
04 어머니는 말하셨지, “다들 그렇게 살아” … 52
05 내 퇴사 비용이 1억 원? … 65
06 퇴사라는 판타지 … 76
2장. 사직서에는 아무도 진실을 말하지 않는다
01 진짜 퇴사자는 퇴사를 말하지 않는다 … 101
02 지금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나요? … 112
03 잡 노마드 vs 부유 시대 … 128
04 상사병上司病, 당신은 모르실 거야 … 141
3장. 행복하게 일하는 사회는 가능할까?
01 퇴사가 행복한 나라? … 157
02 일자리, 창출보다 안착 … 169
03 스펙 교육을 벗어나 … 187
04 회사를 연애처럼 … 212
05 누구나 퇴사 준비생이 된다 … 236
에필로그 | 퇴사에 무심한 사회를 원한다 …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