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이 책은 쇼펜하우어의 [인생론]과 [행복론]에서 가려 뽑은 어록들이다. 쇼펜하우어의 어록들은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 이 순간에도 시대 차이를 느낄 수 없을 만큼 생생하게 들린다. 그 시대에 그런 생각을 했다고는 쉽게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시간을 초월한 언어들이기 때문이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면들을 포장하지 않고 액면 그대로 드러내 보이기 때문에 냉소적으로 느껴지지만, 그것은 오히려 인간과 사회를 명확하게 통찰할 수 있게 해준다. 그의 철학은 세계와 인생에 대해 당대의 철학자들과 달리 독창적인 해석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누구보다 그 자신이 미술과 음악, 여행, 식도락 등 많은 분야에 열정적인 관심을 가지고 유쾌한 삶을 추구할 수 있었던 것도 세계를 정확하게 바라보고 시류에 휩쓸리지 않으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행복한 삶을 추구했기 때문일 것이다.
저자소개
1788년 독일의 단찌히에서 태어난 쇼펜하우어는 1811~1813년 베를린대학교를 다녔고, 1813년 여름 동안에 루돌슈타트에서 박사학위논문을 완성하여 예나대학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베를린대학 재직 시절, 젊은 강사로서 헤겔에 맞서 강좌를 개설했다가 처참하게 실패한 쇼펜하우어는 대학교수직을 포기하고, 연구(특히 자연과학)와 집필에 몰두한 채 28년 동안 프랑크푸르트에서 은둔생활을 했다. 말년에는 저작 대부분에 마무리 손질을 하며 지냈으며, 1860년 프랑크푸르트에서 생을 마감했다. 쇼펜하우어는 헤겔을 중심으로 한 독일 관념론이 맹위를 떨치던 19세기 초반, 이에 맞서 의지의 철학을 주창한 생의 철학자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칸트의 인식론과 플라톤의 이데아론, 인도철학의 범신론으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은 그의 사상은 독창적이었으며, 니체를 거쳐 생의 철학, 실존철학, 인간학 등에 영향을 미쳤다.
지은 책으로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시각과 색채에 대해서], [의지의 자유에 대하여], [독일 철학에 있어서의 우상 파괴] 등이 있다. 특히 그의 대표작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1819)는 생의 철학과 더 나아가 실존철학에의 길을 터놓음으로써 후세에 큰 영향을 끼친 저서로 평가받는다.
목차
1_내면에 지니고 있는 것
001 고상한 운명의 소유자는 자신의 운명을 한탄하지 않는다 | 002 삶의 무게중심이 어디에 있는가? | 003 내면의 공허는 무료함의 근원이다 | 004 자신 속에서 많이 발견할수록 더 행복하다 | 005 내적 빈곤이 외적 빈곤을 초래한다 | 006 개성은 언제나 인간을 따라다니는 것 | 007 운명은 변해도 근본은 변하지 않는다 | 008 가장 중요한 것 | 009 인격의 가치가 행복을 결정한다 | 010 불필요한 것이 왜 이리 많을까 | 011 인격은 운명에 종속되지 않는다 | 012 우리 내부에 있는 행복의 원인이 사물에서 오는 행복의 원인보다 크다 | 013 내면이 풍요로운 사람은 운명에 많은 요구를 하지 않는다 | 014 누구나 고통에 시달리는 가련한 배우처럼 | 015 모든 일은 두 가지 절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2_행복과 명랑함
016 자신의 재능을 자각하는 사람이 행복하다 | 017 인생은 고통을 이겨 내기 위한 것 | 018 넓게 세운 행복은 무너지기 쉽다 | 019 행복은 자기 자신에게 만족하는 사람의 것 | 020 본질적인 자산을 위해 다른 것들을 버려라 | 021 명랑한 사람은 행복하다 | 022 명랑함이 오면 언제든 문을 열어 주어라 | 023 생명의 본질은 운동에 있다 | 024 나무도 잘 자라려면 바람에 흔들려야 한다 | 025 사람을 불안하게 하는 것은 사물이 아니라 사물에 대한 생각이다 | 026 건강을 희생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다 | 027 명랑한 사람과 침울한 사람의 차이 | 028 건강한 거지가 병든 왕보다 더 행복하다
3_현재를 즐겨라
029 현재를 즐기는 것이 가장 현명한 지혜다 | 030 인생의 모습은 모자이크 그림과 같다 | 031 본질은 불변한다 | 032 현재는 이 순간부터 불멸의 빛에 에워싸인다 | 033 경솔한 사람과 불안한 사람의 차이 | 034 현재만이 확실한 것이다 | 035 현재를 항상 명랑한 기분으로 받아들여라 | 036 단 하루, 단 한 번뿐인 오늘
4_고독을 사랑하라
037 고독을 사랑하는 습관 | 038 현명한 사람은 불에서 적절한 거리를 둔다 | 039 신체적 고독이 정신적 고독과 일치하면 행운이다 | 040 고독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자유도 사랑하지 않는다 | 041 내면이 풍요로우면 스스로 만족할 줄 안다 | 042 내면의 공허는 끊임없는 외부의 자극을 필요로 한다 | 043 고독을 벗어나기 위해 나쁜 사회에도 만족한다 | 044 고독을 즐기는 사람은 혼자 연주하는 피아노와 같다 | 045 고독을 좋아하는 사람은 금광을 얻은 것과 같다 | 046 우리의 모든 불행은 혼자 있을 수 없는 데서 생긴다 | 047 뛰어난 정신력을 지닌 사람은 고독을 선택한다
5_타인을 대하는 자세
048 결점에 관대해야 하는 이유 | 049 다른 사람의 일에는 탁월한 수학자가 되어 따진다 | 050 누구에게도 적의를 품지 말라 | 051 길가에 놓인 돌멩이처럼 차 버려라 | 052 상대방의 진실을 알아내는 법 | 053 생각과 말 사이에 커다란 틈을 벌려 두어라 | 054 무턱대고 타인을 모범으로 삼아서는 안된다 | 055 있는 그대로의 열등함을 내보이는 것이 좋다 | 056 남 앞에서 정신적 우월함을 과시하지 말라 | 057 친한 친구가 불행을 당하면 딱히 싫지만은 않다 | 058 사소한 일에서 사람의 성격이 드러난다 | 059 화해의 대가 | 060 좋은 친구일수록 오랜만에 만나라 | 061 아는 만큼만 볼 수 있다 | 062 존경보다 사랑이 더 유익하다 | 063 개성은 자연에 의해 정해진 것이므로 변하지 않는다 | 064 타인의 개성을 견디며 인정해야 한다 | 065 어리석음의 세 가지 싹 | 066 타인은 나의 인내심을 훈련하게 한다 | 067 행복은 타인의 판단에 좌우되지 않는다 | 068 자긍심을 잘 지키려면
6_재물과 행복
069 지나친 재산은 행복에 방해가 된다 | 070 지적인 재산보다 재물을 얻기 위해 수천 배 더 노력하는 사람들 | 071 재산이 최고의 가치를 발휘하는 경우 | 072 재산이 많다고 행복한 건 아니다
7_지혜에 대하여
073 민족적 자긍심은 값싸다 | 074 각자의 개성이 민족성보다 훨씬 중요하다 | 075 행복은 꿈에 불과하지만 고통은 현실이다 | 076 끝에 가서야 전체를 볼 수 있다 | 077 타인의 행복을 괴로워하는 사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