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책
  • 인문/문학
  • 역사
  • 테마로읽는역사
세종의 서재
대출 QR 코드
세종의 서재
책 정보 리스트
저자
박현모 외 저
출판일
2017-09-08
출판사
서해문집
유형
공급일
2018-04-06
용량
38.64MB
모바일
지원가능
EAN
9788974838034
공급사
인터파크
누적대출
0
대출
0/1
예약
0/3
대출 QR 코드 란?

좌측에 위치한 QR 코드를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QR 코드 리더기로 스캔하시면 전자 도서관 App 실행 및 자동 대출 처리가 되어, 보다 손쉽게 대출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작품소개

세종에게 책은 '그의 존재 자체'였다. 그에게 책은 기능적 의미를 훨씬 뛰어넘는 그 무엇이었다. 물론 세종에게 책은 유용한 것이었다. 하지만 책은 세종에게 용도用度 이상의 것을 뜻했다. 어린 세종이 밥을 먹을 때도 잠자리에 들어서도 손에서 책을 놓지 못하는 까닭이 있었다. 어린 그에게 책은 살벌한 정치 공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도피처였다. 숨 쉴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었다. 이 책은 여주대 세종시대 문헌연구팀에서 진행한 심층해제문 가운데 '세종시대를 잘 드러내는 문헌'과 '세종을 만든 책'을 선별해 소개한다. 각각의 문헌 전문가들은 책의 해제와 함께 세종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 그리고 세종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파헤쳤다.

저자소개

박현모

여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겸 세종리더십연구소장. 세종과 정조 등을 포함한 한국형리더십의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 [세종이라면], [세종처럼], [세종의 수성(守成)리더십], [정치가 정조] 등이 있다.

옥영정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전공 교수. 옛 책을 다루는 서지학연구자로서, 한국고인쇄문화의 올바른 이해와 복원을 통하여 새로운 의미를 찾는 데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송혜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에서 실기를 전공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 및 박사과정 중에 우리 음악사를 공부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국 더럼 대학교 음악대학 객원연구원,국립국악원 학예연구관, 국악 FM 방송 편성제작팀장, 숙명가야금연주단 예술감독을 역임했다.
현재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아일보 신춘문예 음악평론 부문에 당선했으며, KBS 국악대상 미디어 출판상, 제4회 관재국악상, 난계악학대상 등을 받았다.
저서로는 [한국 아악 연구] [한국 악기] [우리 국악 100년] [국악, 이렇게 들어보세요] [청소년을 위한 한국사 ] [Confucian Ritual Music of Korea] 등이 있다.

신용욱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농학한약자원학부 교수, 동의보감촌 RIS사업단장. 국내산 한약재의 약리작용 탐색과 약용식물 감정 및 기원식물 고증으로, 역사서 내의 한약재 활용의 재해석을 통한 과학과 인문학을 아우르는 통섭적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정해은

중앙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조선후기 무과급제자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무관과 여성 등 비주류의 삶에도 반드시 전해져야 할 그들만의 이야기가 있다는 생각으로 조선 사회를 탐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저서로[조선의 여성 역사가 다시 말하다](2011),[고려, 북진을 꿈꾸다](2009,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2009 우수저작 및 출판지원사업’ 당선작),[한국 전통 병서의 이해 (1, 2)](2004, 2008),[글로벌시대에 읽는 한국여성사](201 6, 공저),[조선 인물 이렇게 본다](2016, 공저) 등이 있다. 여성 관련 논문으로는[고등학교[한국사] 교과서의 조선시대 여성사 서술과 개선 방향],[조선시대 여성사 연구 어디로 가고 있는가?],[18세기 조선 여성의 머리치장과 ‘작은’ 저항-가체를 중심으로],[조선후기 이혼의 실상과[대명률]의 적용],[조선전기 어우동 사건에 대한 재검토],[조선후기 여성실학자 빙허각 이씨]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숙의가례청등록-숙종 후궁 영빈 김씨의 혼례 기록](2016, 공역),[1756년의 북경이야기: 이기경의 [음빙행정력(飮氷行程曆)] 역주](2016, 공역),[역주 원행을묘정리의궤](1996, 공역)가 있다.

구만옥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조선후기 자연관, 자연인식, 자연학 관련 담론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조선후기 과학사상사의 흐름을 체계화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심경호

1955년 충북 음성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문과와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일본 교토대학 문학연구과 박사과정(중국문학)을 수료하고 교토대학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1998년 국문학연구회 논문상, 2002년 성산학술상, 2006년 시라카와 시즈카 기념 제1회 동양문자문화상, 2011년 연민학회 학술상을 수상했으며 한국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 선정 제1회 인문사회과학 분야 우수학자 로 뽑히기도 했다.
이 책 [내면기행]은 [한시기행], [산문기행], [나는 어떤 사람인가: 선인들의 자서전]과 함께 옛사람의 자취를 찾아 떠나는 기행 연작의 첫째 권으로, 2010년 우호인문학 학술상을 수상했으며 영어, 독일어, 중국어로 번역 출간될 예정이다.
저서로 [강화 학파의 문학과 사상](공저), [조선 시대 한문학과 시경론], [국문학 연구와 문헌학], [다산과 춘천], [한문 산문 미학], [한국 한시의 이해], [한시의 세계], [한시의 서정과 시인의 마음], [김시습 평전], [여행과 동아시아 고전 문학], [국왕의 선물], [참요], [한국 한문 기초학사](전 3권), [자기 책 몰래 고치는 사람], [책, 그 무시무시한 주술], [오늘의 고전], [김삿갓 한시](근간), [안평](근간) 등이 있다. 역서로는 [심경호 교수의 동양 고전 강의 논어](전 3권), [주역 철학사], [불교와 유교], [일본 한문학사](공역), [금오신화], [한자학], [역주 원중랑집](공역), [한자 백 가지 이야기], [선생, 세상의 그물을 조심하시오], [증보역주 지천선생집](공역), [서포만필], [삼봉집], [동아시아 한문학 연구의 방법과 실천] 등이 있다.

이숙인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중국철학을 전공했으며 주로 유학과 여성을 주제로 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정절의 역사]등이 있다.

김택민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명예교수, 동양사학회 회장.
현재 [당률소의] 역주를 수정하는 작업과 [[당률소의] 각칙 연구]를 집필하고 있다.

정긍식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 교수.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법과 역사를 공부하고 있다. 근래에는 법학교육의 역사 등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조선시대에 법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전용훈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1991년 "조선중 기 유학자의 천체와 우주에 대한 이해"로 석사학위를, 2004년에 "조선후기 서양천문학과 전 통천문학의 갈등과 융화"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과정 중 1997~2000년 동아일보사 [과학동아]팀에서 기자로 일했다. 박사학위를 마친 후, 2004년 서울대학교 과학문화연구센터 전임연구원, 2005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니덤연구소 박사후연구원, 2007~2009년 일본학술진흥회(JSPS) 지원 교토산교대학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2010년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2010~2013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인문한국(HK)교수를 지냈고, 2013년 4월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천문학사 관련 연구 이외에도 한국 과학사의 다양한 주제들을 탐구하였다. 19세기 유학자 홍길주(洪吉周)의 수학 연구, 최한기(崔漢綺)의 철학과 서양 과학의 관계, 뉴턴 과학에 대한 한·일 학자의 태도 비교, 서양 점성술 문헌의 조선 전래 등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전통과학과 천문학의 상식을 담은 대중서로 [물구나무 과학](문학과지성사, 2000), [천문대 가는 길](이음, 2008)을 썼고, 불교계 탄생점성술에 관한 일본어 책을 [밀교점성술과 수요경](동국대출판부, 2010)으로 번역하였다. 동아시아의 역법과 역서, 우주론, 점성술에 관한 글로 여러 가지 공동 저술에 참여하였다.

전성호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태동고전연구소(지곡서당)에서 한학 장학연수생으로 수학했으며, 옥스퍼드대학교 동방학연구소에서 박사 후(post-Doctoral Fellowship) 과정을 마쳤다. 튀빙겐대학교 연구교수(2005-2006)를 역임했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국가경영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성균관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제임스 루이스(James. B. Lewis)와 공동으로 쓴 ‘Accounting Techniques in Korea : 18th Century Archival Samples From a Non-Profit Association in the Sinitic W orld’ (Accounting Historians Journal 2006 Vol 33 pp.53-87)와 ‘Wages, Rents, and Interest Rates in Southern Korea, 1700 to 1900, ELSEVIER JAI’(Research in Economic History 2007 Vol 24 pp.217-283)가 있다. 저서로는 『朝鮮後期米價史硏究』(한국학술정보, 2007)가 있다.

목차

1부 세종시대가 만든 책

[훈민정음(해례본)] 한글의 창제 원리를 밝힌 국보 - 박현모

새로운 문자 체계 또는 책
[세종실록]에 기록된 훈민정음
세종이 맞닥뜨린 세 명의 라이벌
훈민정음의 우수성과 세종의 위대성을 기술하다
한글 창제 원리: '우주 원리를 담은 문자'
디자인 철학의 힘

[삼강행실도] 그림으로 읽는 윤리 교과서 - 옥영정
세종의 3대 유교 간행물 중 하나
모범이 되는 효자, 충신, 열녀 330명을 싣다
"만약 언문으로 번역한다면 효녀가 무리로 나올 것"
조선 전 시기에 걸쳐 간행과 반사

[세종실록악보] 우리 음악을 기록하다 - 송혜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악보
유교의 음악고전 아악을 정리하다, [아악보]
조선의 새 음악을 창제하다, [신악보]
고려의 향악과 당악을 모으다, [시용속악보]
동양 최초의 정량기보법, [정간보]
"음악을 보면 정치를 알 수 있다"

[농사직설] 농부에게 물어 만든 우리 농법서 - 전성호
우리 풍토에 맞는 농법
경험과 실증의 종합 과학서
이 책이 나오기까지
15세기 지식과 18세기 지식을 연결하다
세종의 지식 경영과 어떻게 연결되었나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계
획기적인 지식의 축적 시스템 마련

[향약집성방] 우리 땅의 약초로만 처방한 종합 의서 - 신용욱
향약 의서의 완성
국내 향약 중심의 처방과 이론
고유 의방서까지 총망라
당재 등 향약 이용을 확대하다
가정 상비 의약서로도 훌륭해
세종, 향약 체계화의 꽃을 피우다

[역대병요] 세종이 직접 고른 역대 전쟁 사례 - 정해은
한국 최초의 전쟁사를 편찬한 까닭
금속활자와 목판본으로 다섯 곳에 남아 있어
263개 항목 중 240개가 중국 왕조의 역대 전사
인재 발탁이 전쟁의 승패를 좌우한다
고구려 전사 서술이 두드러져
문무 관리 등용에 활용되다
중국 전사에서는 교훈을, 우리 전사에서는 자긍심을

[칠정산내편] 동아시아 전통 역법의 결정판 - 전용훈
조선 천문학과 역법의 전범이 되다
다양한 천체 현상 계산법이 망라돼
6종의 판본과 조금 긴 발문
여말선초, 중국 역법을 도입하다
선명력과 수시력에 관한 역법서 교정
완성 이전의 역법 운용
중국의 역대 역법과 천문학 이론서 연구의 결실
'천상을 관측하여 백성에게 시간을 내려주는' 과정
중국 역법에 미세한 개선과 변형만 있을 뿐

[제가역상집] 조선 천문학 프로젝트의 참고서 - 구만옥
의상, 구추, 천문, 역법의 순으로
7년여에 걸쳐 15개 천문의기 제작
천체 관측과 천문도 제작 그리고 본국력 편찬
송, 원대 천문역산학을 바탕으로 편집
"제왕의 정치는 역상수시보다 큰 것이 없다"
국가 존망이 민심의 거취에 달렸다
[제가역상집]의 쓰임새

2부 세종을 만든 책

[구소수간] 청년 세종의 애독서 - 심경호

한문 서찰 작성의 지침서
세종, 문체 미학에 공감하다
"임금이 백 번 천 번 읽었다"
명조 때까지 회자된 세종의 탐독
4권 목판본이 가장 오래된 판본
척독 작성의 모범서
진주목사 남몽뢰의 복간본
문장의 아름다움과 표현력의 힘
"본마음을 말하고 면목을 대신하다"
훈민정음 창제의 한 동인이 되다
세종 대의 간행 사업

[대학연의] 세종을 성군으로 만들다 - 이숙인
경전의 원리와 사례 편집, 풀어쓴 [대학]
현실 정치를 위한 43권 12책 분량의 교재
"임금도 신하도 반드시 [대학]을 알아야 한다"
세종이 선택한 첫 경연 교재
세종을 만든 [대학연의]
경經과 사史의 교향악

[당률소의] 조선 법관의 필독서 - 김택민
중국의 가장 오래된 법전
한반도, 일본, 베트남 법의 뿌리
세 가지 판본과 네 가지 역주서
명례편과 각칙편 합해 502조로 구성
황제의 통치권을 합법적으로 보장하는 장치
바탕은 유가의 예
법치 지향의 의지를 반영하다
율학 취재 시험 과목으로 채택
세조의 통치 원칙과 부합되는 법전

[지정조격] 국가 경영에 활용한 원

연관도서 목록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