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책
  • 인문/문학
  • 인문
  • 인문학일반
유라시아 견문 1
대출 QR 코드
유라시아 견문 1
책 정보 리스트
저자
이병한 저
출판일
2017-09-08
출판사
서해문집
유형
공급일
2018-04-06
용량
48.48MB
모바일
지원가능
EAN
9788974838096
공급사
인터파크
누적대출
1
대출
0/1
예약
0/3
대출 QR 코드 란?

좌측에 위치한 QR 코드를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QR 코드 리더기로 스캔하시면 전자 도서관 App 실행 및 자동 대출 처리가 되어, 보다 손쉽게 대출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작품소개

이 책은 중화세계와 이슬람 세계의 문명 간 교류와 재건의 생생한 현장을 보여주면서, 유라시아의 실크로드와 초원길과 바닷길이 다시 연결되고 부활하는 감동을 전해준다. 동아시아를 넘어 유라시아 전체의 과거, 현재, 미래를 함께 조망하며, 역사사회학적인 시선으로 포스트-근대를 그려본다. 나라별로 토막났던 국사(國史)들이 하나의 지구사(유라시아사)로 합류한다. 아울러 자본주의 이후, 민주주의 이후를 고민하며 좌우, 동서, 고금의 합작을 통해 한국 사회가 나아가야 할 새로운 '다른 백 년'의 길을 모색해본다.

저자소개

연세대학교 학부에서 사회학을, 대학원에서 역사학을 전공했다. "중화세계의 재편과 동아시아 냉전: 1945~1991"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상하이 자오퉁(交通)대학교 국제학대학원, UCLA 한국학연구소, 베트남 하노이 사회과학원, 인도 네루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등에서 공부하고 연구했다. 월간 "말" 편집위원, 창비 인문사회 기획위원, 세교연구소 상근연구원 등을 지냈다. 2015년부터 "프레시안" 기획위원으로 3년 여정의 '유라시아 견문'을 진행 중이며, '한반도의 통일'과 '동방 문명의 중흥'을 견인하는 'Digital-東學' 운동을 궁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반전의 시대](2016, 서해문집)가 있다.

목차

01 프롤로그
: 유라시아의 길

동아시아
대아시아
유라시아

02 연행록과 견문록
: 개화기의 사대부 유길준, 우리는 그를 몰랐다

[서유견문] 다시 읽기
儒學과 留學
개화와 중도
진(眞)개화

03 21세기 중화망
: 태국 치앙라이, 고산 마을 가는 길

마에살롱과 단 장군
냉전의 마을
네트워크 중화제국

04 방콕의 춘절
: 중국 '춘절'이 글로벌 축제가 될 수 있을까?

하늘길
글로벌 춘절
'일대일로'와 대중화공영권?
세대교체

05 신(新)동방무역 시대
: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의 탄생

영국의 작심
독일의 회심
신동방무역 시대의 도래

06 우크라이나, 신냉전과 탈냉전
: 나치의 후예가 어떻게 민주투사가 되었나?

신냉전: 역사의 반복
탈냉전: 역사의 반전
신세계, 새 물결

07 인도양에 부는 바람
: 재균형의 축, 인도

비단길과 면화길
신드바드와 장보고
백 년의 역풍, 천 년의 순풍

08 반둥, 위대한 유산
: '아시아-아프리카 회의' 60년, 그날의 환희를 기억하라

인도네시아 반둥 가는 길
왜 반둥이었나
위대한 유산

09 적도의 대국, 인도네시아
: "미래는 적도에 있다"

상상의 공동체
'인도태평양'의 역동적 균형자
이슬람 르네상스

10 반동의 축, 미일동맹
: 전후 70년, 평화국가는 죽었다

일본, 속국의 비애
미국, 기생적 패권
블록과 네트워크

11 파키스탄, 일대와 일로 사이
: 미국은 총을 주고 중국은 돈을 준다

철의 형제
남아시아의 허브, 과다르 항
유라시아몽

12 붉은 광장, 기억의 전쟁
: 전쟁 끝낸 진짜 영웅은 맥아더 아닌 주코프였다

역사동맹
1939 할힌골, 세계사의 분수령이 되다
유라시아 전쟁

13 유라시아의 축도, 몽골
: 칭기즈칸의 귀환

신정(新政), 백 년의 급진
민주화: 몽골화와 세계화
유라시아형 세계체제의 가교국가

14 두 개의 몽골, 제국의 유산
: 몽골 분단의 비밀을 풀다

사막 위 국경 도시의 풍경
제국의 유산
제국에서 제국'들'로
제국의 근대화

15 '붉은 라오스'의 탄생, 그 후
: 메콩 강에서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끝을 보다

1975, 도미노
인도차이나, 국제주의와 제국주의
아세안, 우정의 다리
제국과 속국

16 북경, 제국의 터전
: 중국의 길, 중화제국의 근대화를 묻다

북경과 대도
제국의 탄생
화/이의 변증법
중국몽과 제국몽

17 몽골의 후신
: 대청제국과 오스만제국

포스트-몽골 시대
서유라시아와 동유라시아
오스만제국과 대청제국
서구의 충격, 일본의 충격
서역과 서부

18 '인의예지'의 공화국
: '사람'이야말로 동방형 민주국가의 출발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가지 못한 길
나의 소원

19 아시아의 하늘을 잇다
: 하늘길의 민주화 선언

하늘 버스, 도시와 도시의 네트워킹 미디어
천상의 실크로드

20 다시 쓰는 '천하'의 지정학
: 상하이협력기구, 범유라시아의 '대동세계'를 꿈꾸다

이란의 동방 정책, "Look East"
진화하는 상하이협력기구
'천하'의 지정학

21 캄보디아, 속국의 민주화
: 킬링필드의 진실, 그때 미군 폭격이 있었다

킬링필드 산업
독재자, 훈센
'속국의 민주화'에서 '독립국의 민주화'로

22 실학자들의 나라, 싱가포르
: 키쇼어 마부바니와의 대화

싱가포르는 독재국가가 아니다
실학자들의 나라
열린 사고와 그 적들
건국과 수성
자동차 없는 '미래 도시'를 꿈꾼다
미래 국가

23 지구적 근대, 지속 가능한 미래
: 프라센지트 두아라와의 대화

서구적 근대와 지구적 근대
자아와 자연, 천인합일
뉴에이지, 요가와 쿵푸가 만나면 세상이 바뀐다

24 이슬람 경제의 메카, 말레이시아
: 진화하는 '아시아적

연관도서 목록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