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책
  • 취미/실용
  • 여행
  • 해외여행
  • 테마여행
유라시아 15,000km 두 바퀴의 기적
대출 QR 코드
유라시아 15,000km 두 바퀴의 기적
책 정보 리스트
저자
조선일보 원코리아 뉴라시아 자전거 평화원정단 저
출판일
2015-07-17
출판사
21세기북스(북이십일)
유형
공급일
2018-04-06
용량
33.51MB
모바일
지원가능
EAN
9788950960711
공급사
인터파크
누적대출
1
대출
0/2
예약
0/3
대출 QR 코드 란?

좌측에 위치한 QR 코드를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QR 코드 리더기로 스캔하시면 전자 도서관 App 실행 및 자동 대출 처리가 되어, 보다 손쉽게 대출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작품소개

2014년 8월 13일, 독일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문 앞 광장에서 커다란 함성이 울려퍼졌다. 베를린부터 서울까지 유라시아 대장정의 서막을 알리는 자전거 원정대원들의 외침이었다. 조선일보의 '통일이 미래다'라는 슬로건 아래 기획된 이 프로젝트는 유라시아의 새로운 길을 개척한다는 의미에서 '뉴라시아New-eurasia 자전거 평화원정단'이라 이름 붙였다. 신간 [유라시아 15,000km, 두 바퀴의 기적]은 이 도전의 여정을 담은 책이다. 국내 최초, 최대 규모로 시도된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자전거 횡단에 그치지 않는다. 독일 베를린, 러시아 모스크바, 중국 베이징 등 주요 나라의 도시에서 경제포럼, 통일음악회, 의료봉사, 한국의 밤 등 다양한 행사들을 개최하며 문화적 의미를 되새겼다. 각 구간별로 라이딩을 다녀온 기자들이 쓴 글 속에는 각국의 역사적·사회적 배경과 함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시선이 담겨 있다.

저자소개

2014년 8월 13일부터 11월 16일까지 100일간 독일 베를린에서 서울로 유라시아 15,000km 대장정에 성공한 자전거 원정단. 김창호 원정대장을 선두로 270 대 1이 넘는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6명의 대원 등이 참가했다. '원코리아 뉴라시아(One Korea New-eurasia) 자전거 평화대장정'은 2014년 조선일보 연중기획 '통일이 미래다'의 핵심 프로젝트 중 하나로, 한반도 통합과 아시아 공동 번영의 미래를 조망하는 취지에서 '원코리아 뉴아시아(One Korea, New Asia)'를 모토로 내걸었다. 원정단이 독일 베를린을 출발해 서울까지 달려온 '뉴라시아 로드'는 앞으로 통일 한반도 시대에 유라시아 대륙을 잇는 '평화와 미래, 소통과 도전의 길'이 될 것이다.

목차

서문 - '평화, 통일, 미래, 도전'이 일군 두 바퀴의 기적
인사말 - 자전거 유목민, 통일과 미래를 향해 달리다

독일 Germany
01 브란덴부르크 문이 새롭게 열리다_ 베를린
02 프로이센의 위엄, 보리수 아래를 걷다_베를린 운터덴린덴
03 과학과 예술의 성소로 가꾸라_ 베를린 박물관 섬
04 장벽길 160km 출정식 라이딩_ 베를린 장벽길

폴란드 Poland
05 고도는 상처가 깊다_ 포즈난
06 혁명과 발라드의 거리를 걷다_ 포즈난 구시가지
07 첫 캠핑의 밤_ 코닌
08 나의 심장을 조국 폴란드에 묻어주오_ 바르샤바
09 침략의 역사, 불굴의 의지로 극복하다_ 바르샤바 역사지구
10 천 년간 이어진 폴란드와 유대인의 돈독한 역사_ 바르샤바

발트3국 Baltic countries
11 유대인을 도운 일본인 스기하라_ 리투아니아 카우나스
12 노래하는 민족, 노래로 혁명하다_ 라트비아 리가
13 발트 해안의 빗소리를 들으며_ 라트비아 살락그리바
14 유럽으로 향한 창을 열어젖히다_ 에스토니아 나르바

러시아, 카자흐스탄 Russia, Kazakhstan
15 러시아는 유럽이 아니다_ 러시아 입경
16 러시아의 인디언 서머, 그 찬란한 계절을 느끼다_ 볼로소보, 상트페테르부르크
17 기적 같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내 라이딩_ 상트페테르부르크
18 볼가 강변에서 추석 차례를 지내다_ 볼가 강
19 크렘린 궁 앞에서 라이딩 활극을 벌이다_ 모스크바
20 민영환의 좌절된 꿈길을 달리다_ 니즈니노브고로드, 카잔
21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 우랄 산맥을 넘다_ 첼랴빈스크
22 카자흐스탄 고려인에게 경의를 표하며_ 코스타니아, 아스타나
23 시베리아 없는 러시아라면 택하지 않겠다_ 노보시비르스크

몽골, 중국 Mongolia, China
24 바이칼에 살아 숨쉬는 한민족 DNA_ 바이칼 호
25 징기스칸의 후예들, 기백은 여전하다_ 울란우데, 울란바타르
26 아시안 하이웨이, 밀레니엄 로드를 달리다_ 고비 사막, 테를지 국립공원
27 21세기에도 만리장성은 여전히 높다_ 장자커우, 베이징
28 손 내밀면 닿을 듯한 북녘 땅이건만_ 선양, 단둥, 백두산
29 별이 바람에 스치우는 시인의 고향_ 룽징, 옌지, 훈춘
30 첩첩산중 국경 통과 분투기_ 크라스키노
31 연해주에 뿌려진 눈물 자국을 보다_ 크라스키노, 우수리스크
32 마침내 태평양 앞에 서다_ 블라디보스토크

대한민국 Korea
33 개척자들의 라이딩은 계속된다_ 동해, 철원, 파주, 임진각, 서울

라이더 가이드 (특별 부록 수록)
자전거 도로 상황 / 운전 시 주의 사항
국가별 교통 상황
자전거 정보
의류 장비
음식 및 취사 용품
숙소 정보
국가별 의료 현황
국가별 인덱스
현지 긴급 연락처

연관도서 목록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