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옛 시에 이르기를 "구름을 보면 옷이 생각나고, 꽃을 보면 얼굴이 떠오른다."라고 했다. 구름을 생각하든 꽃을 생각하든 사실은 모두 인간의 욕망이 투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옷은 생필품이면서도 예술적인 면이 요구되고 미학적인 면이 추구되는 대상으로, 인간의 문명사와 문화사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웬만한 글재주만으로 옷에 관한 책을 쓴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런데 위안저와 후웨 두 젊은 연구자들이 이토록 어마어마한 [옷으로 읽는 중국문화 100년]이라는 책을 썼다는 것은 나로서는 도저히 믿기지 않는 일이다. 이 책에는 우리와 우리 부모가 겪어온 백 년의 역사가 고스란히 숨어 있다. 자희태후가 서양인들 앞에서 포즈를 취하면서 찍은 사진 속의 의상이나, 장제스와 마오쩌둥이 중산복을 입고 찍은 사진들은 차치하더라도, "류바오의 이야기"에 나오는 어린 병사가 입은 낡은 군복은 마오쩌둥 시대를 살았던 중국인들이 거의 한평생을 입어왔던 인민복으로써 시대의 애환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이처럼 이 책에 수록된 많은 사진과 기록들은 중국인이 겪어온 멀고 가까운 날의 흔적들을 발견하고 중국문화를 알아가는데 재미를 더 할 것이라 믿는다. -추천의 글 중에서
저자소개
위안저
1948년생으로 상하이에서 태어나 수저우스처우공학원(蘇州絲綢工學院)을 졸업했다. 후에 문학석사와 철학석사를 취득한 후, 베이징복장학원 교수로 임직하면서 "복장사론", "전통문화구원( 救)" 및 "디자인예술사" 등 방면에 대한 교육과 연구에 종사하고 있다.
후웨
1957년생으로 난징(南京)에서 출생했다. 수저우스처우공학원(蘇州絲綢工學院)을 졸업한 후 베이징복장학원 교수와 중국여장(女裝) 브랜드 "리와이(例外)"의 디자인 총감독으로 활동하면서 복장디자인 교육과 복식문화이론 연구에 종사하고 있다.
목차
추천글 _6
서문을 대신하여 _8
01 _ 옛것을 수호하여 사직을 지키다 20세기초 (1901-1910) _13
02 _ 전승이냐? 타파냐? 복장의 변화 1910년대 (1911-1920) _71
03 _ 여성들이 장포를 입다 1920년대 (1921-1930) _127
04 _ ‘해외파’의 모던 타임즈 1930년대 (1931-1940) _185
05 _ 다시 돌아온 치파오의 황금시대 1940년대 (1941-1950) _253
06 _ 땋은 머리, 간부 모자와 ‘첸청디’ 1950년대 (1951-1960) _305
07 _ ‘아름다운 복장’보다 ‘군복’ 1960년대 (1961-1970) _361
08 _ 배회하는 복장산업1970년대 (1971-1980) _409
09 _ 국제적 유행에 보조를 맞추다 1980년대 (1981-1990) _449
10 _ 최신세대와 새로운 유행 패션 1990년대 (1991-2000) _501
후 기 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