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신사임당은 500여 년 전 성리학 사상이 팽배해 있던 조선사회에서 여성의 몸으로 태어나 지금까지 현모양처의 대명사로 불리는 한편, 詩·書·畵에 능한 예술인으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특히 신사임당의 초충도는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작은 대상에 다정하고 따뜻한 마음을 불어 넣은 생명력이 담긴 그림으로 유명하다. 사임당 전기의 시초는 1962년 노상 이은상 씨가 쓴 [사임당의 생애와 예술]이라는 책에서 찾을 수 있지만 책이 나온 지 이미 40년
저자소개
목차
머리말 | 사임당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제1부 신사임당 탄생의 배경
사임당의 이미지즘
1500년대, 굴곡의 역사
뿌리 깊은 고고한 학풍
아버지, 신명화(申命和)
신사임당의 탄생
여자로서 학문을 하는 풍경
어머니에서 딸에게로 이어지는 학풍
제2부 신사임당의 예술세계
안견의 [몽유도원도]를 교과서 삼아
오죽헌 뜨락의 자연을 소재로
사임당, 열아홉 살에 꽃가마를 타다
사임당의 부군, 이원수(李元秀)
아버지의 3년상
귀여움 넘치는 둘째 딸
안견의 그림에서 깨우침을 얻다
자신이 지은 호, 사임당
아름다운 그림의 소재들
지성이면 감천, 하늘에 닿은 어머니의 정성
결혼과 아버지의 죽음
치마폭에 그린 포도송이
강릉 친정집으로 돌아온 사임당
제3부 신사임당의 자녀들
신사임당의 맏아들, 이선(李璿)
신사임당의 맏딸, 매창(梅窓)
신사임당의 둘째 아들, 이번(李?)
작은 사임당과 옥산 이우
흑룡과 함께 태어난 율곡
율곡, 세 살에 시(詩)를 짓다
시집 한양으로 떠나는 사임당의 눈물
사임당의 넷째 아들, 이우(李瑀)
제4부 신사임당을 기리며
사임당의 외로운 죽음
우리의 영원한 어머니, 본받을 만한 여인상
부록 | 신사임당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