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사회정의가 살아 있는 이상 국가로 가는 길을 제시한 플라톤 사상의 핵심을 파헤치다플라톤의 [국가론]은 인간의 삶에 대해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한 번 주어진 삶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플라톤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대화라는 형식을 통해 독자들이 스스로 길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그 답은 아직까지도 개개인에 의해 끊임없이 제시되고 있다. [국가론]에서 플라톤은 ‘동굴의 신화’, ‘철인왕’, ‘이상 국가’ 등의 개념을 이용하여 인간 사회를 정의하고자 했다. 그는 사회에는 통치계급, 군인계급, 생산계급의 세 계급이 존재하며, 각 계급은 자신의 일을 전문화함으로써 사회를 안정화시킨다고 보았다. 그중에서도 사회를 지배하는 엘리트들인 통치계급은 교육을 통해서 통치에 적합한 덕목을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배층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고, 통치자에 대한 믿음이 흔들리는 시기에 플라톤의 [국가론]은 철인왕, 즉 제대로 된 통치자의 등장을 바라는 사람들에게 올바른 통치자를 선별할 수 있는 눈을 가지게 해줄 것이다. 세상을 바꾼 10권의 위대한 책들, 그리고 [국가론]영국의 명문 출판사 애틀랜틱북스는 인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오늘날의 세계를 이루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한 명저 10권을 선정하여 소개하는 시리즈를 기획했다. [종의 기원],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 [인권], [전쟁론], [꾸란], [성서], [국부론], [자본론], [국가론], [군주론]이 그 책들이었고, 각 분야에서 최고로 인정받는 필자 10명이 이 명저들에 대한 전기(Biography)를 흥미롭고 이해하기 쉽도록 집필해나갔다. 이 시리즈는 출판사와 각계 최고의 지식인들이 참여한 방대한 프로젝트가 되었고, 시작한 지 10년이 지난 2013년 7월 마지막 권인 [군주론]이 출간됨으로써 마침내 그 장대한 여정의 마침표를 찍었다. 그리고 모두가 심혈을 기울여 만든 이 위대한 책들은 인문학계에 획을 그을 만한 역작이 되었다. 이 책은 플라톤의 [국가론]이 왜 그토록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는지, 그 기나긴 시간 동안 독자의 상상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또 앞으로는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 다루고 있다. 시리즈의 다른 책들과 달리 이 책의 독특한 점은 플라톤 전공자가 아닌 아리스토텔레스 전공 학자가 저술했다는 점이다. ‘들어가는 말’에서 자신은 플라톤 전공자도 아니고 그의 사상에 호감을 느끼지도 않는 철학자라고 분명히 입장을 밝힌 사이먼 블랙번은 [국가론]에서 중요한 쟁점이 되는 문제에 대해 자신의 판단과 견해를 밝히기보다는 문화와 정치에 관한 서구의 담론 속에 플라톤의 사상이 얼마나 깊숙이 침윤되어 있는지 몇 가지 중요한 사례들을 제시하면서, 오늘날 그런 플라톤의 생각을 어떻게 읽어낼 것인지를 독자에게 주문하고 있다. 그는 플라톤과는 거리를 두면서 플라톤의 생각 가운데 옳고 그른 것을 오늘날 우리가 어떻게 읽어낼 것인지를 보여주고자 했던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저자인 블랙번이 플라톤의 [국가론]에 관해 쓴 비판적 입문서이자 그 자신이 한 사람의 독자가 되어 쓴 오늘날의 [국가론]인 셈이다. 이 책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개인의 도덕에 대한 내용과 통치자의 이상적인 덕목에 대한 것이다. 블랙번은 플라톤 사고의 중심이 개인의 도덕에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개인의 도덕은 자기 절제에 달려 있으며, 그것은 자기의 결점을 되돌아보는 일에서 시작된다. 플라톤이 이상적 삶과 사회를 제시한 것도 실제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우리 자신의 결점을 가늠해줄 척도로 삼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자기반성을 촉구하며, 결국 모든 것이 "내 탓이오"로 귀결된다. 여기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를 묻는 플라톤의 화두를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블랙번은[국가론]에서 거론된 정치에 관한 논의도 개인의 도덕적 자아를 판단하는 하나의 유추일 뿐이며, 국가의 도덕성이나 질서 혹은 정의는 개인의 도덕성이나 질서 혹은 정의를 들여다보게 해주는 확대경이라고 말한다. 플라톤은 통치자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 용기라고 보았다. "엘리트 지배계급이 제대로 교육을 받으면 그들
저자소개
준실재론(Quasi-realism)에 관한 연구와 철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한 철학자로 유명하다. 1969년에서 1990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 펨브로크 칼리지의 펠로우로 재직했으며,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에드나 J. 카우리 석좌 교수로도 활동했다. 2009년에서 2010년까지 ‘아리스토텔레스 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11년 은퇴한 이후 현재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철학과 석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옥스퍼드 철학 사전(The Oxford Dictionary of Philosophy)]과 철학 입문서인 [생각: 철학으로 가는 가장 매력적인 지름길(Think: A Compelling Introduction to Philosophy ), 윤리학 입문서인 [선: 윤리학으로 가는 가장 바람직한 지름길(Being Good: A Short Introduction to Ethics)]과 [정욕: 불타는 쾌락에 기꺼이 온몸을 던지다(Lust: The Seven Deadly Sins)], [철학을 낳은 위대한 질문들(The Big Questions: Philosophy)], [거울, 거울: 자기애의 효용과 남용(Mirror, Mirror: The Uses and Abuses of Self-Love)]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번역과 판본에 관하여
서문
1. 관습과 비도덕주의
2. 힘과 올바름
3. 기게스의 반지
4. 유추
5. 엘리트와 예술가
6. 글라우콘의 도전
7. 기개 있는 자
8. 전문화
9. 안다는 것과 믿는다는 것
10. 동굴의 신화
11. 종교적 해석
12. 시적 해석
13. 과학적 해석
14. 무질서한 도시들, 무모한 사람들
15. 시인의 추방
16. 마지막 고별 신화
주
더 읽을 만한 책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