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한국의 촛불집회와 간디의 비폭력 저항운동 2002년 미군 장갑차에 치여 숨진 고(故) 신효순, 심미선 양 사건 이후 촛불집회는 한국 시위 문화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대중 집회로서 촛불집회는 비폭력 시위를 표방했고 이는 평소 집회에 참가하지 않았던 다양한 사람들을 집회로 이끈 원동력이 되었다. 평화적으로 진행되는 촛불집회는 간디의 비폭력 저항운동 사상을 한국의 상황에 맞게 받아들인 하나의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중학생부터 평범한 직장인은 물론 할아버지와 할머니까지, 더 많은 사람들이 부당함에 저항하기 위해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설 수 있었던 것은 진실을 관철하겠다는 의지가 확고했기 때문이고, 이는 간디의 비폭력 저항운동의 정신과 일맥상통하는 것이기도 하다. 사람들에게 불의에 맞설 수 있는 용기를 주는 비폭력 저항운동의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이고,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우리가 비폭력 저항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간디의 삶과 사상에 다시 한 번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저자소개
‘마하트마(위대한 영혼)’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인도 건국의 아버지로, 인도 민족운동의 지도자이자 사상가다. 1869년 10월 인도 구자라트 포르반다르에서 태어났다. 1887년 열여덟 살의 나이로 런던에 유학하여 법률을 배우고, 1891년에 귀국해서 변호사로 개업했다. 1893년 소송 사건을 의뢰받고 남아프리카로 간 간디는 백인에게 박해받는 인도인들을 보고, 1915년 귀국할 때까지 인도인의 지위 향상을 위해 투쟁했다.
이후 아힘사(불상생), 무소유, 무집착을 중심으로 하는 사상적 바탕 위에 사티아그라하(진실관철투쟁), 아슈람 공동체 운동 등을 전개했고, 영국에 대한 비협력운동의 일환으로 납세 거부, 상품 불매운동을 전개했으며, 불가촉천민을 아슈람에 받아들이고 그들의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했다.
1947년 7월 인도가 영국에서 독립한 후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분쟁을 종식시키려 애쓰던 간디는 1948년 1월 30일 저녁, 델리 비르라에서 극렬 힌두교도의 총탄에 맞아 목숨을 잃는다.
평생 금욕을 실천하고, 투옥과 석방을 거듭하며, 단식이라는 비폭력적 방법으로 저항과 투쟁을 멈추지 않았던 간디는 인도인뿐만 아니라 세계인의 가슴속에서 잊히지 않는 금세기 마지막 성자로 추앙받으며, 인류사에 길이 남을 위인이 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간디 자서전 : 나의 진실 추구 이야기], [인도의 자치], [간디, 나의 교육철학]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1. 지리
2. 역사
3. 인도인, 남아프리카에 오다
4. 고난의 회고-나탈
5. 고난의 회고-트란스발과 여타 식민지
6. 초기 투쟁의 개관
7. 초기 투쟁의 개관(계속)
8. 초기 투쟁의 개관(계속)-영국에서 활동
9. 보어전쟁
10. 전쟁 이후
11. 예의에 대한 보상-암흑법
12. 사티아그라하의 탄생
13. 사티아그라하 대 수동적 저항
14. 영국에 보낸 대표단
15. 사악한 정책
16. 아마드 무함마드 카찰리아
17. 최초의 분열
18. 최초의 사티아그라하 죄수
19. [인디언 오피니언]
20. 이어지는 체포
21. 최초의 협정
22. 반대와 공격
23. 백인의 지지
24. 내부 분열의 심화
25. 스뫼츠 장군의 배신(?)
26. 투쟁 재개
27. 증명서 태우기
28. 새 문제 제기에 대한 비난
29. 소라브지 샤푸르지 아다자니아
30. 세드 다우드 마호메트 등의 투쟁 개시
31. 국외 추방
32. 제2의 대표단
33. 톨스토이 농장 1
34. 톨스토이 농장 2
35. 톨스토이 농장 3
36. 고칼레의 방문
37. 고칼레의 방문(계속)
38. 약속 위반
39. 결혼이 결혼이 아니게 될 때
40. 감옥의 여성
41. 노동자의 물결
42. 회의와 그 후
43. 국경을 넘어
44. 거대한 행진
45. 모두 감옥으로
46. 시금석
47. 종결의 시작
48. 잠정 협정
49. 편지 교환
50. 투쟁의 끝
맺음말
해설 : 간디와 사티아그라하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