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자본주의, 진화는 끝났다”
대전환이 남긴 잿더미 속, 변화의 싹은 있는가?
2세기 남짓한 기간에 걸쳐, 자본주의는 극심한 변화들을 겪어냈다. 호황과 불황 사이를 널뛰듯 오가는 경제순환을 통해 자본주의는 언제나 떠오르고, 변화하고, 강화되어왔다. 《포스트자본주의: 새로운 시작》의 저자 폴 메이슨은 이 격동의 역사를 면밀하게 들여다보며, 지금 우리가 얼마나 거대하고 격동적인 변화를 눈앞에 두고 있는지를 알려준다. 그리고 이번에야말로 자본주의 자체, 온 사회의 토대인 그 어마어마하게 복잡한 체계가 완전히 새로운 무엇인가로 변이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저자소개
영국 랭커셔에서 태어나 셰필드대학교, 런던대학교를 졸업했다. 여러 전문잡지와 신문사에서 기업 뉴스를 담당하다가2001년부터 BBC 뉴스나이트Newsnight에 합류했다. 2013년 채널4 뉴스팀에 문화?디지털 에디터로 합류했으며, 2014년부터 2016년 초까지는 경제 에디터로 활약했다. 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세계화의 부작용과 사회정의 관련 문제에 관심이 깊으며, 기업 및 산업 담당 특파원으로 굵직굵직한 사건들을 취재했다.
2003년 비즈니스 저널리즘 부문에서 윈콧 상을 수상했고, 2004년 ‘올해의 워크월드 저널리스트’로 선정됐다. 2007년에는 휴대폰이 어떻게 아프리카를 변화시키고 있는지에 관한 탐사보도로 디아지오 아프리카기업리포트 상을 수상했고, 볼리비아 대통령 에보 모랄레스를 지지하는 사회 운동에 관한 보도로 오웰 상을 받았다. 2012년에는 영국왕립텔레비전협회Royal Television Society에서 주는 올해의 기자상을 받았다.
세계 노동운동의 역사를 다룬 《일만 하며 살 것인가, 싸우다 죽을 것인가Live Working or Die Fighting》, 2008년 금융위기를 취재한 《탐욕의 종말Meltdown》, 중국을 무대로 한 소설 《희토류Rare Earth》 등을 썼으며, 《가디언》, 《뉴스테이츠먼》, 《스펙테이터》 등의 매체에 정기적으로 기고한다. BBC 블로그 ‘폴 메이슨의 한담Paul Mason’s Idle Scrawl’를 운영하면서 금융위기와 사회문제에 관해 글을 쓰고 있다. 현재 영국 울버햄프턴대학교 국제경영학 연구클러스터에서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목차
머리말 | 포스트자본주의 프로젝트의 시작
1부
1장 신자유주의는 끝났다
“또 하나의 마약”
명목화폐
경제의 금융화
국가 간 불균형
정보기술 혁명
좀비 시스템
2장 장기순환이란 무엇인가
총살당한 경제학자
콘드라티예프 이론의 실제 의미
가상의 곡선
모스크바의 추운 감방
무작위로 추출한 숫자들
콘드라티예프 구하기
3장 마르크스는 옳았는가?
마르크스는 무엇을 주장했나
자본주의, 시장을 억압하다
자본주의의 변이
좌파는 재앙을 기다린다
길을 잃은 좌파
위기이론의 문제점
완벽한 파동
파동이 생기는 이유는?
4장 중단된 장기순환
명시적인 규칙의 힘
전후의 호황기
무엇이 파동을 붕괴시켰나
케인스주의, 계속 전진
노동에 대한 공격
그림으로 보는 파동의 붕괴
패턴이 깨진 이유
2부
5장 포스트자본주의를 예언한 사람들
드러커의 질문은 옳았다
정보재가 모든 것을 변화시킨다
오픈 소스의 등장
혼돈의 가장자리로
새로운 생산양식?
공짜 상품의 경제학
일반지성
제3의 자본주의?
포스트자본주의: 하나의 가설
6장 공짜 기계를 향하여
노동이 가치의 원천이다
숫자로 보는 노동가치설
타당한 반론들
노동가치설에서 말하는 생산성
‘미래의 일’을 회피하는 이론
노동가치설이 중요한 이유
마르크스와 정보기계
기계가 생각을 한다면
혼합형 경제의 공짜 기계
정보자본주의는 어떤 모습일까?
7장 아름다운 반항아들
1771~1848: 공장은 전쟁터
1848~98: 인간 대 기계
1898~1948: 돼지 들고 걷기
레닌과 노동귀족
처참한 아름다움: 1916~39
대학살
1948~89: 노동이 ‘부조리’가 되다
1967~76: 뜨거운 10년
이탈리아: 새로운 통제방식
디지털 반항아, 아날로그 노예
3부
8장 전환에 대하여
볼셰비키, 화성에 가다
러시아의 악몽
계산 논쟁
전환기에는 전환기의 법칙이 있다
사이버 스탈린주의자들의 공격
거대한 변화: 셰익스피어 대 마르크스
전환의 동력
9장 공황은 필연이다?
기후 재앙을 막아내려면
인구 변화라는 시한폭탄
현실을 부정하는 세계 엘리트
10장 프로젝트 제로
전환의 다섯 가지 원칙
최상위 목표
모델부터 만들고, 실행은 나중에
위키 국가
협력적 노동의 확장
독점은 억제하거나 사회화한다
시장의 힘을 없애야 한다
금융 시스템을 사회화하라
모두에게 기본소득을
통제 없는 네트워크
이게 진짜로 가능한가요?
1퍼센트를 해방시키자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