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책
  • 인문/문학
  • 역사
  • 한국사
조선 최고의 문장 이덕무를 읽다
대출 QR 코드
조선 최고의 문장 이덕무를 읽다
책 정보 리스트
저자
한정주 저
출판일
2016-12-19
출판사
다산북스
유형
공급일
2018-04-06
용량
28.96MB
모바일
지원가능
EAN
9791130610535
공급사
인터파크
누적대출
0
대출
0/1
예약
0/3
대출 QR 코드 란?

좌측에 위치한 QR 코드를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QR 코드 리더기로 스캔하시면 전자 도서관 App 실행 및 자동 대출 처리가 되어, 보다 손쉽게 대출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작품소개

이덕무는 대표적인 북학파 실학자로 정조 시대 활약한 규장각 사검서 중 하나다. 그동안 '책만 읽는 바보(간서치)'로 잘 알려졌으나, 지독한 독서 편력만큼이나 빼어난 문장 실력과 탐구 정신, 그리고 기록에 대한 집착도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대단했다. 어린아이의 천진함 같은 '동심의 글쓰기', 조선의 정경을 그대로 담아낸 '진경 시', '기궤첨신(奇詭尖新)'이라 평가받은 참신하고 통찰력 가득한 글들을 선보인 그는, 사후 정조의 지시로 유고집까지 간행된 조선 최고 문장가였다.

저자소개

역사평론가. 고전연구가. 고전·역사연구회 뇌룡재雷龍齋 대표. 정치적·사회적 격동기였던 1980~1990년대에 대학을 다니고 사회 활동을 한 탓에 정작 역사 공부보다는 사회과학 서적에 심취해 지내다가, 우연히 찾아온 기회를 통해 뒤늦게 다시 역사와 고전 읽는 즐거움을 깨달았다. 그리고 20여 년 동안 사회과학과 역사 서적 및 고전을 탐독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과 체득한 사상을 사람들과 소통·공유하고 싶은 욕구 때문에 불혹의 나이에 접어든 2005년부터 글을 쓰기 시작했다. 베네디토 크로체Benedetto Croce의 "모든 역사는 현대사다"라는 말과 연암 박지원의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철학을 바탕 삼아, 역사와 고전을 현대적 가치와 의미로 다시 발견하고 새롭게 해석하는 것을 글쓰기의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최근에 들어와서는 일국사와 민족사의 한계를 넘어선 지역사(아시아사) 공부와 더불어 동서양 문명과 지식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교차, 비교하는 작업에 큰 관심을 갖고 글을 쓰고 있다. 현재 마음을 함께하는 여러 벗들과 더불어 인사동 한 모퉁이에서 역사와 고전을 공부하고 연구하며 집필하고 강의하는 소박한 모임인 고전·역사연구회 뇌룡재를 운영하고 있다. 인터넷 신문[헤드라인뉴스www.iheadlinenews.co.kr]에 인문人文에 관련된 다양한 방식의 글들을 연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천자문 인문학][호, 조선 선비의 자존심][조선을 구한 13인의 경제학자들][율곡, 사람의 길을 말하다] 등이 있다. 쓰고 엮은 책으로는 [조선 지식인의 글쓰기 노트][조선 지식인의 아름다운 문장] 등 [조선 지식인 시리즈]가 있다.

목차

머리말 이덕무를 통해 18세기 조선의 지성사를 읽다
프롤로그 18세기 인문학의 정수 [청장관전서]

제1부 치열하게 읽고 기록하다

제1장 영처의 눈과 마음으로
어린아이의 천진함과 처녀의 순수함
야인과 뇌인과 거울과 장님
백탑에서 맺은 인연
해오라기, 호에 새긴 선비의 얼

제2장 독서하고 기록한다, 고로 존재한다
"나는 책에 미친 바보다!" ?? 지식 혁명의 시대와 백과전서파의 탄생
박물학, 놀이 삼아 학문하다 ?? 바다를 건넌 독서 편력

제3장 조선의 모습을 담아내다
'조선의 국풍'
진경산수화와 진경 시
또 다른 진경, 산문과 소품
작고양금과 법고창신

제4장 새로 쓴 동아시아 삼국의 문예 비평사
맑은 기운, 창자에 스미고
평어, 한시의 미학
한중일 삼국의 문예 경연장

제2부 끊임없는 호기심과 탐구 정신

제5장 조선의 풍속과 문화의 재발견
서해 중북부 풍속과 역사 기행
의식주와 고유 명절
풍수지리와 민간신앙에서 민담과 설화까지
사대부가의 생활문화 ?? 한양의 속담과 방언

제6장 북학의 높은 뜻을 세우다
오랑캐를 스승 삼는 큰 뜻
지식과 정보의 북방 통로 1, 유리창
지식과 정보의 북방 통로 2, 천주당
조선과 청나라 지식인의 인문학 네트워크

제7장 18세기 일본을 통찰하다
우물 안을 떠나 현실을 바로 보다
지식과 정보의 남방 통로, 조선통신사
남학과 북학의 완성 청령국지와 북학의
일본의 침략을 예견하다

제8장 마지막 호, 아정에 담긴 의미
규장각 사검서
검서체와 연암체 그리고 문체반정
구중궁궐에서 내린 한 글자의 의미

에필로그 참다운 지식인의 삶이란

연관도서 목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