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책
  • 인문/문학
  • 역사
  • 한국사
왕으로 산다는 것
대출 QR 코드
왕으로 산다는 것
책 정보 리스트
저자
신병주 저
출판일
2017-03-27
출판사
매경출판(매일경제신문사)
유형
공급일
2018-04-06
용량
82.22MB
모바일
지원가능
EAN
9791155425107
공급사
인터파크
누적대출
1
대출
0/1
예약
0/3
대출 QR 코드 란?

좌측에 위치한 QR 코드를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QR 코드 리더기로 스캔하시면 전자 도서관 App 실행 및 자동 대출 처리가 되어, 보다 손쉽게 대출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작품소개

조선왕조가 500년 이상 장수한 비결은 바로 국가의 성패를 결정지었던 왕의 리더십에 있다! BR이 책은 정통 역사학자로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건국대학교 사학과 신병주 교수가 500여년의 조선왕조 역사를 8개의 분류로 나누어 소개한다. 왕을 중심으로 소개한 조선의 500년 역사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현 시대와 너무나 비슷한 이야기들이 많이 등장한다. 멀고도 가까운 조선 왕들의 정치와 리더십, 역사 이야기를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지금 갖고 있는 현시대를 향한 갈증에 대한 해답을 자연스레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였다(석사, 박사). 서울대 규장각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를 전공하고 있으며, 역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KBS1 라디오에서 [글로벌 한국사, 그날 세계는]과 EBS 라디오에서 "신병주의 이야기가 있는 역사여행"을 매주 진행하고 있다. 2013~2014년 팟캐스트 방송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고정 패널로 활동했다. 평소 역사의 대중화에 깊은 관심을 가져, KBS1 TV에서 [역사저널 그날]을 진행했으며, KBS의 [역사추리], [TV조선왕조실록], [역사스페셜], EBS의 [역사극장] 등의 자문을 맡았다. 현재 궁능활용 심의위원, 인문학대중화 운영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조선시대사학회 총무이사, 외규장각도서 자문포럼 위원,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건립 전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왕으로 산다는 것], [조선과 만나는 법], [조선평전],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규장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들], [조선후기를 움직인 사건들], [고전소설 속 역사여행], [이지함 평전]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며

제1장 창업과 수성, 나라를 세우고 지키다
태조가 함흥에서 돌아오지 않은 까닭은?
태종, 인공하천 청계천을 조성하다
인간 세종에게 다가왔던 시련들
세조가 술자리를 자주 베푼 까닭은?
성종, 장인 한명회의 빛과 그늘
성종이 왕비에게 사약을 내린 까닭은?

쉬어가는 페이지_ 왕의 글귀 하나

제2장 사화와 당쟁, 갈등과 반복의 시대
연산군의 흥청망청 독재정치
중종과 조광조의 위험한 동거
명종의 어머니, 여걸 문정왕후
선조의 즉위와 당쟁의 시작

쉬어가는 페이지_ 왕의 글귀 둘

제3장 왜란과 호란의 시대
임진왜란과 선조의 피난, 리더의 부재를 알리다
정통성 시비에 발목 잡힌 광해군, 빛과 그림자
광해군의 탁월한 외교 감각, 전쟁을 억제하다
1623년 3월 인조, 반정에 직접 참여하다
인조, 두 차례의 호란을 당하다

쉬어가는 페이지_ 왕의 글귀 셋

제4장 북벌과 이념의 시대
인조는 소현세자의 죽음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가?
효종의 즉위와 북벌
하멜의 표류와 효종의 나선정벌
현종이 왕으로서의 존재감이 약한 까닭은?

쉬어가는 페이지_ 왕의 글귀 넷

제5장 부국과 중흥의 시대
14세의 카리스마, 숙종
숙종의 '역사 바로 세우기'와 상평통보의 유통
숙종 시대의 국방 강화와 지도 제작
영조의 즉위와 탕평책의 실천
서민을 위했던 왕 영조와 균역법
영조가 청계천 준천 사업을 실시한 까닭은?

쉬어가는 페이지_ 왕의 글귀 다섯

제6장 개혁, 정치와 문화의 부흥
정조의 즉위와 개혁정치의 산실 규장각
정조 시대의 편찬 사업과 문화 중흥
정조가 화성을 건설한 까닭은?
1795년 정조, 화성 행차를 단행하다
1791년의 신해통공, 경제 민주화의 초석을 다지다

쉬어가는 페이지_ 왕의 글귀 여섯

제7장 시련, 나라가 기울고 백성이 신음하다
1800년 개혁군주 정조의 승하
순조의 즉위와 세도정치의 시작
순조, 효명세자의 대리청정을 명하다
헌종과 낙선재, 그리고 경빈 김씨
강화도령 철종, 왕이 되다
1862년 진주 민란, 전국을 휩쓸다

쉬어가는 페이지_ 왕의 글귀 일곱

제8장 개항과 근대
흥선대원군의 아들, 왕이 되다
고종과 명성황후 – 동반자인가 경쟁자인가?
고종, 1897년 10월 대한제국을 선포하다
고종, 강제 퇴위를 당하다
고종을 기억하는 공간들
마지막 황제, 순종
조선 왕실의 마지막 사람들

쉬어가는 페이지_ 왕의 글귀 여덟

연관도서 목록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