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대통령을 뽑는 데도 과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물리학자나 수학자들은 카지노에서 더 유리하다? 한국 프로야구에서 더 이상 3할대 타자가 나오지 않는 이유는? 이세돌이 알파고에 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드라마가 아닌 현실에서 타임슬립은 가능할까? 중력파가 발견되면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틀린 걸까? 한국에서 노벨상이 나오기 어려운 이유는 뭘까? 북한은 정말 핵폭탄을 가지고 있는 걸까? 4대강 공사는 우리에게 얼마나 위험한 것일까?
저자소개
1971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1990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해 2001년 같은 대학원에서 입자물리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연세대학교, 고등과학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등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BK21플러스 휴먼웨어 정보기술사업단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이종필 교수의 인터스텔라] [신의 입자를 찾아서] [대통령을 위한 과학 에세이] [물리학 클래식]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최종이론의 꿈] [블랙홀 전쟁] [시간의 화살]이 있다.
목차
추천의 글
서화숙 언론인 헌집트러스트 대표
프롤로그
가볍게 브런치 어때요?
MB가 한 방에 훅 가지 않는 이유
평행우주, 무한개의 우주
신의 입자를 발견하다
핵폭탄의 원리
물리 법칙과 ‘석궁 교수’ 그리고 박근혜
4할 타자가 사라진 이유
올림픽 체조가 보여준 과학의 힘
맨해튼 프로젝트의 비밀
과학계의 얼룩, 데이터 조작의 역사
일본은 왜 기초과학 분야에서 뛰어난가
과학계의 떠오르는 혜성, 중국
갈릴레오와 종교재판
북한의 수소폭탄시험, 어떻게 될 것인가
스타워즈 광선검은 과학적으로 가능한가
당연히 외계인은 존재하지 않겠는가
사주팔자와 고전역학
중력파의 발견
미니 블랙홀의 위력
가상현실 기술이 바꾸는 실제 세계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
인공지능, 너무나 가까운 미래
쌍둥이 모순
야구는 과학이다
다이아몬드 행성은 가능한가?
한 여성 화학자의 비극
100년에 걸친 염색체 지도의 완성
미세먼지, 과학이 해결할 수 있을까?
새로운 입자가 발견될 것인가
우주는 생각보다 더 빨리 팽창한다
주노, 남편 주피터를 만나러 가다
오존층이 회복된다
사라진 새 입자
물리학자는 카지노를 잘할까?
소리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인공 블랙홀
중국, 우주 개발의 미래를 좌우할 것인가
현실이 가상현실이라면?
시간여행은 가능할까?
화성, 지구의 미래?
슈퍼문이 떴다
망원경, 거대함을 향해 내딛는 진보
공룡 화석, 진화의 비밀을 밝혀줄 것인가
추진제 없이 날 수 있을까?
에필로그
브런치 뒤의 커피 한 잔
주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