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근대화의 격변기 속에서 치열하게 살아간 우리민족의 모습을 담아내어 한국 대하소설의 한 획을 그은 '토지'의 작가 박경리. 박경리의 또 하나의 대표작 '김약국의 딸들'은 작가의 경력에서 '토지'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의 첫 성공작으로 독자들의 뇌리에 박경리의 이름을 강렬하게 인식시킨 작품임은 물론, 박경리가 줄곧 추구했던 생명주의 사상의 근간이 된 작품이기 때문이다.
발표 당시, '김약국의 딸들'은 격변하는 시대 속에서 흔들리는 인간 군상의 모습과 근대사회의 문제점들을 여과 없이 보여주며 큰 파장을 일으켰다. 전시대의 유물처럼 쓸쓸히 흘러가는 김약국과 가족을 위한 희생을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그의 부인 한실댁, 그리고 김약국의 딸들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는 우리 민족사의 축소판인 것이다. 비극으로 치닫는 그들의 삶에서 작가는 생명에 대한 흔들림 없는 믿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후에 [토지]로 이어지는 생명주의 사상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저자소개
1926년 10월 28일 경상남도 통영에서 태어났다. 1945년 진주고등여학교를 졸업하였다. 1955년 김동리의 추천을 받아 단편 [계산]으로 등단하였다. [표류도](1959), [김약국의 딸들](1962)을 비롯하여, [파시](1964), [시장과 전장](1965) 등 사회와 현실에 대한 비판성이 강한 문제작을 잇달아 발표하며 문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1969년 9월부터 대하소설 [토지]를 연재하기 시작하여 26년 만인 1994년에 완성하였다. 2003년 장편소설 [나비야 청산가자]를 [현대문학]에 연재하였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미완에 그치고 말았다. 수필집 [Q씨에게], [원주통신], [만리장성의 나라], [꿈꾸는 자가 창조한다], [생명의 아픔] 등과 시집으로 [못 떠나는 배], [도시의 고양이들], [우리들의 시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등이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명예문학 박사학위를 수여 받았으며, 연세대학교에서 용재 석좌교수 등을 지냈다. 1996년부터 토지문화관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현대문학 신인상, 한국여류문학상, 월탄문학상, 인촌상, 호암 예술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칠레 정부로부터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문학 기념 메달'을 수여 받았다. 2008년 5월 5일 타계하였으며 정부에서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하였다.
목차
제 1 장
통영
비명(非命)
지석원
송씨의 심정
도깨비 집
혼례
봉제 영감의 죽음
오던 길을
꽃상여
송씨
제 2 장
귀향
뱃놈이 왔고나
파초
명장(名匠)
정사
애인
혼처
바람이 세게 불었다
어장막
제 3 장
불구자
주판질
비밀
풍신 대접(風神待接)
요조숙녀
취중(醉中)
낙성식
출범(出帆)
나라 없는 백성
실종
형제
제 4 장
영아 살해 사건
서울서 온 사람들
결별
절망
오욕의 밑바닥에서
떠나는 사람들
거절
일금백원야(一金百圓也)
까마우야 까마우야
흐느낌
제 5 장
봉사 개천 나무라겠다
나타난 한돌이
점괘
가장례식(假葬禮式)
소문
보고 싶었다
꾀어낸 사내
미친놈
번개 치는 밤의 흉사
타인들
제 6 장
차중(車中)에서
광녀(狂女)
감이 소담스럽게
선고
늙은 짐승
부산행 윤선
침몰
두 번째 대면
안녕히 주무세요
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