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한승원 장편소설『다산』제2권.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소설가로 꼽히는 한승원이 5년간의 연구와 집필을 통해 완성한 역사소설로,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철학을 전해준다. 정약전을 다룬『흑산도 하늘 길』, 다산의 제자 초의스님을 다룬『초의』, 추사 김정희를 다룬『추사』로 이어지는 한승원 인물역사소설의 완결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소설은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다산의 모습을 생생하게 되살려냈다. 200여 권의 문헌과 고증자료를 바탕으로 깊이 있는 역사적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탄탄한 이야기 구성으로 소설적 재미와 감동을 더했다. 작가는 농익은 필력과 통찰력으로 학자로서,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 다산의 사상과 철학을 속도감 있는 글의 흐름 속에 자연스럽게 담아내었다.
또한 셋째 형 정약종과의 관계나 여러 재미있는 일화를 통해 그동안 접하지 못했던 다산의 새로운 모습도 그리고 있다. 주자학과 천주학이 공존공생하고 있는 다산의 사상과 철학을 따라 주자학, 천주학, 도학과 불교에 대한 깊은 사유까지 담아낸 이 소설은 극단의 이분법적인 갈등 속에 살고 있는 우리 시대를 위한 다산의 해법을 제시한다.
저자소개
1939년 전남 장흥에서 태어났다.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에서 스승 김동리에게 문학에 대해 배웠다. 1968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목선]이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50년 동안 고향인 장흥의 율산 마을에서 바다를 시원(始原)으로 한 작품들을 꾸준히 써오면서 현대문학상, 한국문학작가상, 이상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한국소설문학상, 한국해양문학상, 한국불교문학상, 미국 기리야마 환태평양 도서상, 김동리문학상 등 유수의 문학상들을 수상했다. 중단편전집으로 [목선], [아리랑 별곡], [누이와 늑대], [해변의 길손], [내 고향 남쪽 바다], [검은댕기두루미], [잠수거미], [희망 사진관] 등이, 장편소설로 [아제아제 바라아제], [우리들의 돌탑], [시인의 잠], [동학제], [아버지를 위하여], [까마], [연꽃 바다], [해산 가는 길], [포구], [꿈], [사랑], [화사], [멍텅구리배], [물보라], [초의], [흑산도 하늘길], [원효], [키조개], [추사], [다산], [보리 닷 되], [피플 붓다], [항항포포], [겨울잠, 봄꿈], [사랑아, 피를 토하라], [사람의 맨발], [물에 잠긴 아버지] 등이, 산문집으로 [허무의 바다에 외로운 등불 하나], [키 작은 인간의 마을에서], [푸른 산 흰 구름], [바닷가 학교], [시방 여그가 그 꽃자리여], [이 세상을 다녀가는 것 가운데 바람 아닌 것이 있으랴], [차 한 잔의 깨달음], [강은 이야기하며 흐른다] 등이, 시집으로 [열애 일기], [사랑은 늘 혼자 깨어 있게 하고], [노을 아래서 파도를 줍다],[달 긷는 집], [사랑하는 나그네 당신], [이별 연습하는 시간] 등이 있다.
목차
황사영 백서
황사영과 정약용을 엮어라
형은 흑산도로 아우는 강진으로
나주 밤나무골에서의 이별
강진으로 따라온 홍희운의 계략
또 하나의 손님마마
주막집의 곰보 주모
거문고
미행하는 초립동
소년 황상의 병통(病痛)
한밤에 찾아온 선비
스스로 끊어버린 남근
임금을 비방한 죄
주모의 가슴, 흙의 가슴
주모의 딸
하인이 가져온 참담한 소식
연두색 머리처네
목탁 구멍 속의 어둠처럼
보은산방
『주역』에 달통한 혜장과의 만남
스님의 외고집
주의 주장의 심줄 끊어주기
거래
혜장과의 대립
꽃 바다 밀행(密行)
바다 잠행
소흑산도로 가는 밤배
슬픈 천륜의 은밀한 만남
다산초당으로 이사
홍경래의 반란
백운동
청혼
통곡하는 신부, 정약용의 외딸
아들 학연의 슬픈 권고
길 잃은 자의 절망
지는 해와 떠오르는 달
무단히, 무단히
회오(悔悟)
누가 둘째 형님을 죽였는가
초의의 어리광
살생하는 스님
대쪽 같은 노인
다시 연두색 머리처네
아내의 치마폭
손가락의 마비
또 하나의 액운
떠나가는 나그네
작가의 말
주요 등장인물
다산 정약용 연보
대표 참고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