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한승원 장편소설『다산』제1권.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소설가로 꼽히는 한승원이 5년간의 연구와 집필을 통해 완성한 역사소설로, 다산 정약용의 사상과 철학을 전해준다. 정약전을 다룬『흑산도 하늘 길』, 다산의 제자 초의스님을 다룬『초의』, 추사 김정희를 다룬『추사』로 이어지는 한승원 인물역사소설의 완결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소설은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다산의 모습을 생생하게 되살려냈다. 200여 권의 문헌과 고증자료를 바탕으로 깊이 있는 역사적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탄탄한 이야기 구성으로 소설적 재미와 감동을 더했다. 작가는 농익은 필력과 통찰력으로 학자로서,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 다산의 사상과 철학을 속도감 있는 글의 흐름 속에 자연스럽게 담아내었다.
또한 셋째 형 정약종과의 관계나 여러 재미있는 일화를 통해 그동안 접하지 못했던 다산의 새로운 모습도 그리고 있다. 주자학과 천주학이 공존공생하고 있는 다산의 사상과 철학을 따라 주자학, 천주학, 도학과 불교에 대한 깊은 사유까지 담아낸 이 소설은 극단의 이분법적인 갈등 속에 살고 있는 우리 시대를 위한 다산의 해법을 제시한다.
저자소개
1939년 전남 장흥에서 태어났다.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에서 스승 김동리에게 문학에 대해 배웠다. 1968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목선]이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50년 동안 고향인 장흥의 율산 마을에서 바다를 시원(始原)으로 한 작품들을 꾸준히 써오면서 현대문학상, 한국문학작가상, 이상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한국소설문학상, 한국해양문학상, 한국불교문학상, 미국 기리야마 환태평양 도서상, 김동리문학상 등 유수의 문학상들을 수상했다. 중단편전집으로 [목선], [아리랑 별곡], [누이와 늑대], [해변의 길손], [내 고향 남쪽 바다], [검은댕기두루미], [잠수거미], [희망 사진관] 등이, 장편소설로 [아제아제 바라아제], [우리들의 돌탑], [시인의 잠], [동학제], [아버지를 위하여], [까마], [연꽃 바다], [해산 가는 길], [포구], [꿈], [사랑], [화사], [멍텅구리배], [물보라], [초의], [흑산도 하늘길], [원효], [키조개], [추사], [다산], [보리 닷 되], [피플 붓다], [항항포포], [겨울잠, 봄꿈], [사랑아, 피를 토하라], [사람의 맨발], [물에 잠긴 아버지] 등이, 산문집으로 [허무의 바다에 외로운 등불 하나], [키 작은 인간의 마을에서], [푸른 산 흰 구름], [바닷가 학교], [시방 여그가 그 꽃자리여], [이 세상을 다녀가는 것 가운데 바람 아닌 것이 있으랴], [차 한 잔의 깨달음], [강은 이야기하며 흐른다] 등이, 시집으로 [열애 일기], [사랑은 늘 혼자 깨어 있게 하고], [노을 아래서 파도를 줍다],[달 긷는 집], [사랑하는 나그네 당신], [이별 연습하는 시간] 등이 있다.
목차
다산비결
두 가지 약을 섞어 마신 정약용
천지 순화(醇化)
거꾸로 흐르는 삶
회혼일(回婚日)
정조 임금의 붕어(崩御)
서용보와의 악연
춤추는 기름접시 불 그림자
옥중에서 만난 형제들
차꼬 찬 죄인
임금의 총애, 혹은 양날의 칼[劍]
남인 이진동을 죽여라
죄 없는 이진동 구하기
운명, 사도세자의 만남
하늘의 명령, 혹은 운명
이기경의 배신
향사례
가슴 서늘한 예감
투서
그림자(1)
이벽과 숙제 의논
밤배 위의 젊은 선비들
깨달음의 환희
멀리 떠나간 그림자
과거 시험문제 ‘오행’
주문모 신부의 밀입국
금정 찰방으로 좌천
말에게는 쓸개가 없다
이가환의 참담한 변신
정조 임금의 배려에 반발
자기 잘못을 척결하려는 상소
백성들이 원님을 들것에 담아서
사또 행차 가로막은 무뢰한
신마(神馬) 탄 도적의 괴수
풍악 실은 꿈의 뱃길
하늘 명령 받은, 깨달은 자의 눈
트기의 빛
명판관 정약용
어여쁜 저 아가씨와 함께
미리 내다보고 조처하기
도깨비 살림 같은 탁상 행정
정조 임금과의 내기
제왕이 활을 쏘는 까닭
왕 길들이기[聖學]와 신하 길들이기[聖王]
정조의 슬픈 예감
문체 반정
칼 못 쓰는 호위 무사
미복 차림의 정조 임금
물의 말과 침묵
혹독한 문초
형의 길과 아우의 길
정약종과 이벽의 토론
또 하나의 손님
그림자(2)
정약용과 정약종의 논쟁
천주학과 손님마마
나 혼자라도 살아야 한다
정약종의 효수
젊은 거지
회오의 어둠
천리 유형
유배지 장기에서
죽림서원에서 쫓겨나다
사랑하는 아들들에게
경상도 장기 사투리
서울로 다시 압송